사실 원천세신고나 근로소득간이지급명세서를 작성하기 때문에 따로 보수총액신고를 해야하는게 약간 중복되고 번거롭기도 하지만
어쨌든 해야된다.
또 2019년도는 중간에 한번 고용보험 요율이 변동되었기 때문에
이렇게 1~9월과 10~12월로 나눠서 입력하게 되어있다.
어쨌든 산재와 고용 내용을 입력하고
저장하고
접수하고 나면,
뭐 간단하다.
'시즌별 세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 새희망자금 최대 200만원 고용안정지원금 (0) | 2020.09.20 |
---|---|
서울시 자영업자 생존자금 개인사업자 지원금 140만원 받기 (0) | 2020.05.24 |
종합소득세 - 분리과세, 합산과세 선택하고 절세하기 (0) | 2020.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