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직 사업자라서 개인사업자 자격을 유지하면서 고소득이기 때문에 소득세를 줄일 수 없는 예외적인 경우가 있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개인사업자라면 비용을 늘리는 방식으로 절세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비용이 단순히 소비를 하라는 것이 아니라
소득의 재투자를 통해 부를 만들어 가면서 세금은 줄일 수 있다.
이 소득세 100만원을 역산하면, 대략 과세표준 1450만원에 부과되는 세금이다.
즉, 아무런 절세플랜이 없다면 연간 1450만원만 벌고도 소득세 100만원을 내야한다.
하지만 소득공제, 세액공제를 최대로 챙기면 실제로 내 주머니에 들어오는 돈은 1억에 가까우면서도 소득세는 100만원이하로 낼 수 있다.
우선 단순히 개인사업자로서 사업소득만 있는 경우보다는 연간 1000만원~2000만원 사이의 근로소득이 함께 있을 경우 더 큰 절세를 할 수 있다.
그 경우는 나중에 별도로 살펴보고, 여기에서는 개인사업자로서 사업소득만 있는 경우의 절세 플랜을 알아보자.
예를 들어 e커머스를 하면서 매출이 2.5억원이고, 비용이 1.5억인 사업자가 있다면 1억원의 소득에 대해서 소득세를 내야한다.
하지만 연구전담부서를 설립하고 5천만원이 연구원의 인건비라고 하면 5천만원의 25%인 1250만원의 세금이 감면된다.
그리고 중소기업 기본세액공제로 과세표준기준 세액의 10%가 추가로 감면된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연금저축, IRP계좌에 각 400만원,300만원씩 저축을 했다면 추가적으로 92만원의 세액공제가 가능하다.
아무것도 안했을 경우의 소득세는 1900만원정도이고, 위에서의 세액감면을 통해 1250만원, 190만원, 92만원을 감면 받으면
내야하는 소득세는 368만원이다.
이런 고액의 소득세를 낼 바에는 예를 들어 월 80만원의 유지비가 드는 자동차를 하나 구매하여 사업용으로 활용하면 내야할 소득세는 거의 0에 가까워진다.
정확하게 다시 계산을 해보면, 1500만원 - 1250만원 - 150만원 - 92만원 으로 8만원이 된다.
물론 이런식으로 쉽게 고급차를 한대 몰면서 소득세 360만원을 안내는 방법도 있지만,
굳이 필요없는 차에 사치를 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사무실 부동산 같은 것을 매입하여 임대를 주는 방법도 있다. (다른 자산을 매입하는 방법도 당연히 가능하다)
2억짜리 부동산을 4천만원의 자기자본 + 80%인 1.6억원의 대출, 그리고 천만원의 세금등을 들이면
1회성 비용은 세금 1천만원일 것이고, 건축물 토지가 50% 50%이라면 건축물 1억원에 대하여 30년 감가상각을 하면
매년 330만원의 감가상각비를 비용으로 제할 수 있고, 또한 1.6억원의 대출이자 (3%)라고 하면 480만원에 대하여 지급이자 비용이 인정된다.
즉, 세금을 계산하지 않더라도 감가상각비와 지급이자만으로 810만원의 비용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월 70만원 유지비의 자동차를 매입한것의
비용 효과가 발생한다. 사무실에 추가적으로 기계장치나 인테리어를 함으로써 감가상각비 등의 비용을 늘릴 수 있고,
비용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사실상 투자에 속하는 것으로 자산의 증가에 기여하여 결국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기반이 된다.
그렇게 해서 버는 돈이 많아질수록 계속 재투자를 거듭하면서 자산을 불려나가고, 그 과정에서 세금을 거의 내지 않을 수 있다.
꼭 자산이 부동산일 필요는 없고, 지적재산권 같이 더 비용효율이 뛰어난 방법도 존재한다.
그리고 개인사업자로도 어느정도 이상은 가능하지만, 매출액이 복식부기의무기준을 넘고 성실신고 기준을 넘게 되면 여러모로 사업에도 절세에도 불리하므로 법인으로 적당히 분할 전환이 필요하다.
법인으로 전환할 경우에도 모든 사업을 다 법인으로 이전하게 되면 개인의 사업소득이 법인에서 받는 근로소득으로 바뀌게 되어 다시 개인으로 돈을 가져올 때 세금적으로 불리해진다.
그래서 법인을 설립할 때 전체의 사업부문이 아닌 적당히 소득 2~3천만원이 보장되는 정도는 개인사업자로 놔두고 나머지를 법인으로 전환하는 것이 세금을 가장 귀하게 아끼는 방법이 된다.
부자아빠 가난한아빠의 저자 로버트 키요사키도 이런 세금 문제를 굉장히 중요하게 강조한다.
사업자는 번 돈의 지속적인 재투자를 통해 세금을 거의 내지 않을 수 있고, 그렇게 해야만 부를 축적해 나갈 수 있다.
'개인사업자 세무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가세신고, 종소세신고 얼마면 호구 잡힌게 아닐까? (0) | 2021.01.25 |
---|---|
개인사업자 연간 세무일정 이걸로 끝! (0) | 2020.07.30 |
부가세 신고 이것 모르면 대박 손해 (0) | 2020.07.15 |
부가세 환급? 부가세 매입세액 공제? (0) | 2020.06.15 |
세무사 수수료 얼마가 적정한 수준일까? (0) | 2020.05.29 |